2020년 04월 06일 국내 가격 동향
페이지 정보
본문
상품시황
골드 가격, 경제적 불안감, 지표 하회로 소폭 상승
골드 가격은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에 의한 안전 자산 선호심리에 상승세를 보였으나 달러화 강세와 뉴욕 증시 하락세에 영
향을 받으며 상승세는 제한받는 모습을 보였다. 금일 발표된 미경제지표가 예상치에 하회하 며 경기 침체 우려가 부각되었
다. 지난달 미국 내 비농업 일자리 수가 70만 1000개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레저, 호텔, 레스토랑 등이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미국 에서 신규 일자리가 감소한 것은 2010년 9월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특히 이번 지표는 3월 중 순까지만 집계된 자료를 토대로 만들어져, 코로나19의 충격 여파를 완전히 반 영한
결과는 아니다.
지난달 13일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한 이후 상황이 크게 반영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업 률은 2월에 비해 0.9%포인트(p) 오
른 4.4%를 기록했다. 실업률 상승폭이 1975년 1월 이후 가 장 큰 것으로 알려 졌다.
하버콘전략가는 "코로나 사태가 더 길어질수록 상황은 장기적으로 더 악화할 것"이라면서 "현재 불확 실성이큰 상황에서 금
리는 제로로 떨어져 금은 좋은 모습을 나타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ED&F 맨 캐피털 마 켓의에드워드 마이어 전략가는 "금은 향후 몇 달 간 시장 출렁임을 고려할 때 투자자들에게 있어 중요한
자산 배분 대상이될 것"이라면서 " 그러나 변동성은 꽤 높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마이어 전략가는 "경제둔화가 길 어지고,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의 공격적인 부양책은 금값을 지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ㆍ 금 현물 전 거래일 대비 $4.04 상승한 $1,616.45
ㆍ 은 현물 전 거래일 대비 $0.1150 하락한 $14.39
달러/원 환율
6일 달러-원 환율은 1,240원대 부근으로 상승하며 대량 실업 우려를 반영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33만명을 넘어섰고 사망자는 1만명에 육박한 가운데 미국 고용
지표가 시장 예상을 큰 폭으로 밑돌아 불안심리가 커졌다.
달러-원 환율도 전 거래일 장 후반부 들어 고용 지표 경계에 상승폭을 키우며 1,230원대로 올라선 바 있다.
미 노동부는 3월 고용이 70만1천 명(계절 조정치)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미국의 신규고용이 감소한 것은 2010년 9월 이후
처음이다. 실업률도 전월 3.5%에서 4.4%로 상승하며 시장 예상치 3.7%를 웃돌았다.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가 전주까지 최근 2주간 약 1천만 명 폭증했으나 아직 비농업 고용 지표에 완전히 반영되지 않은
만큼 향후 추가 악화 가능성도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코로나19와 관련해 '참혹한(horrendous) 시기'에 진입하고 있다고 언급한 만큼 상황은 여전히
녹록지 않다. 여기에 유가 불안까지 겹치면서 역내외 시장 참가자들의 달러 강세 베팅이 강해질 수 있다.
그간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전세계적으로 달러 유동성을 공급하면서 달러화급등세에 숨 고르기가 나타났으나 유로화가
약세를 나타내면서 달러화는 다시 힘을 받고 있다. 달러인덱스는 이달 들어 다시 슬금슬금 100선을 웃돌고 있다.
지난주 시장 심리 회복의 주역이었던 국제 유가는 다시 큰 폭으로 내려앉았다.
OPEC+(OPEC과 10개 주요 산유국의 연대체) 회의가 6일에서 9일로 연기됐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선물 가격이 아시아 시장에서 10% 이상 하락세로 출발했다.
국내 증권 시장에서 외국인 자금 이탈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유가 불안이 증시에 악재로 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역송금
경계는 꾸준히 달러-원을 끌어올리는 요인이 될 것이다.
다만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를 포함해 미국과 캐나다 등 전 세계 산유국이 공동 감산안을 논의하고 있는 만큼 기대는 남
아 있다. 트럼프 대통령도 최대 1천500만 배럴 감산 예상을 내놓은 바 있다.
또 아시아 시장에서 E-미니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 선물 등 미국 주요 주가지수 선물이 1% 넘게 상승 출발해 장
초반 심리는 비교적 안정적일 수 있다.
각국 외환 당국의 경기 부양책도 여전히 달러-원 상방 경직 재료를 제공한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중소은행 지급준비율을 1%포인트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한국은행도 오는 7일 한미 통화스와프 자금을 활용한 두 번째 외화 대출을 이어가기로 했다.
또 최근 급격한 시장 심리 악화를 막기 위한 스무딩오퍼레이션(미세조정) 경계가 1,230원대에서 꾸준히 강해지고 있어 달러
-원이 상승하더라도 1,230원대 후반 박스권에 머물 가능성이 크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60.91포인트(1.69%) 하락한 21,052.53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38.25포인트(1.51%) 내린 2,488.6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14.23
포인트(1.53%) 하락한 7,373.08에 장을 마감했다.
뉴욕 역외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달러-원 1개월물은 최근 1개월물 스와프 포인트(-0.95원)를 고려하면 전 거래일 서
울외환시장 현물환 종가(1,230.90원) 대비 5.60원 상승한 수준인 1,235.55원에 마지막으로 호가됐다.
골드 가격, 경제적 불안감, 지표 하회로 소폭 상승
골드 가격은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에 의한 안전 자산 선호심리에 상승세를 보였으나 달러화 강세와 뉴욕 증시 하락세에 영
향을 받으며 상승세는 제한받는 모습을 보였다. 금일 발표된 미경제지표가 예상치에 하회하 며 경기 침체 우려가 부각되었
다. 지난달 미국 내 비농업 일자리 수가 70만 1000개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레저, 호텔, 레스토랑 등이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미국 에서 신규 일자리가 감소한 것은 2010년 9월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특히 이번 지표는 3월 중 순까지만 집계된 자료를 토대로 만들어져, 코로나19의 충격 여파를 완전히 반 영한
결과는 아니다.
지난달 13일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한 이후 상황이 크게 반영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업 률은 2월에 비해 0.9%포인트(p) 오
른 4.4%를 기록했다. 실업률 상승폭이 1975년 1월 이후 가 장 큰 것으로 알려 졌다.
하버콘전략가는 "코로나 사태가 더 길어질수록 상황은 장기적으로 더 악화할 것"이라면서 "현재 불확 실성이큰 상황에서 금
리는 제로로 떨어져 금은 좋은 모습을 나타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ED&F 맨 캐피털 마 켓의에드워드 마이어 전략가는 "금은 향후 몇 달 간 시장 출렁임을 고려할 때 투자자들에게 있어 중요한
자산 배분 대상이될 것"이라면서 " 그러나 변동성은 꽤 높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마이어 전략가는 "경제둔화가 길 어지고,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의 공격적인 부양책은 금값을 지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ㆍ 금 현물 전 거래일 대비 $4.04 상승한 $1,616.45
ㆍ 은 현물 전 거래일 대비 $0.1150 하락한 $14.39
달러/원 환율
6일 달러-원 환율은 1,240원대 부근으로 상승하며 대량 실업 우려를 반영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33만명을 넘어섰고 사망자는 1만명에 육박한 가운데 미국 고용
지표가 시장 예상을 큰 폭으로 밑돌아 불안심리가 커졌다.
달러-원 환율도 전 거래일 장 후반부 들어 고용 지표 경계에 상승폭을 키우며 1,230원대로 올라선 바 있다.
미 노동부는 3월 고용이 70만1천 명(계절 조정치)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미국의 신규고용이 감소한 것은 2010년 9월 이후
처음이다. 실업률도 전월 3.5%에서 4.4%로 상승하며 시장 예상치 3.7%를 웃돌았다.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가 전주까지 최근 2주간 약 1천만 명 폭증했으나 아직 비농업 고용 지표에 완전히 반영되지 않은
만큼 향후 추가 악화 가능성도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코로나19와 관련해 '참혹한(horrendous) 시기'에 진입하고 있다고 언급한 만큼 상황은 여전히
녹록지 않다. 여기에 유가 불안까지 겹치면서 역내외 시장 참가자들의 달러 강세 베팅이 강해질 수 있다.
그간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전세계적으로 달러 유동성을 공급하면서 달러화급등세에 숨 고르기가 나타났으나 유로화가
약세를 나타내면서 달러화는 다시 힘을 받고 있다. 달러인덱스는 이달 들어 다시 슬금슬금 100선을 웃돌고 있다.
지난주 시장 심리 회복의 주역이었던 국제 유가는 다시 큰 폭으로 내려앉았다.
OPEC+(OPEC과 10개 주요 산유국의 연대체) 회의가 6일에서 9일로 연기됐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선물 가격이 아시아 시장에서 10% 이상 하락세로 출발했다.
국내 증권 시장에서 외국인 자금 이탈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유가 불안이 증시에 악재로 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역송금
경계는 꾸준히 달러-원을 끌어올리는 요인이 될 것이다.
다만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를 포함해 미국과 캐나다 등 전 세계 산유국이 공동 감산안을 논의하고 있는 만큼 기대는 남
아 있다. 트럼프 대통령도 최대 1천500만 배럴 감산 예상을 내놓은 바 있다.
또 아시아 시장에서 E-미니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 선물 등 미국 주요 주가지수 선물이 1% 넘게 상승 출발해 장
초반 심리는 비교적 안정적일 수 있다.
각국 외환 당국의 경기 부양책도 여전히 달러-원 상방 경직 재료를 제공한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중소은행 지급준비율을 1%포인트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한국은행도 오는 7일 한미 통화스와프 자금을 활용한 두 번째 외화 대출을 이어가기로 했다.
또 최근 급격한 시장 심리 악화를 막기 위한 스무딩오퍼레이션(미세조정) 경계가 1,230원대에서 꾸준히 강해지고 있어 달러
-원이 상승하더라도 1,230원대 후반 박스권에 머물 가능성이 크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60.91포인트(1.69%) 하락한 21,052.53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38.25포인트(1.51%) 내린 2,488.6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14.23
포인트(1.53%) 하락한 7,373.08에 장을 마감했다.
뉴욕 역외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달러-원 1개월물은 최근 1개월물 스와프 포인트(-0.95원)를 고려하면 전 거래일 서
울외환시장 현물환 종가(1,230.90원) 대비 5.60원 상승한 수준인 1,235.55원에 마지막으로 호가됐다.
- 이전글2020년 04월 06일 환율 마감 현황 20.04.06
- 다음글2020년 04월 03일 환율 마감 현황 20.04.0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